Jeon Gi, Plum Blossom Cottage, early 19th century
전기, <매화초옥도>, 19세기 초
Jeon Gi, Plum Blossom Cottage, early 19th century
전기, <매화초옥도>, 19세기 초
As spring approaches, I always find myself thinking of plum blossoms. Yet, in Seoul, they are difficult to find. Even common varieties like white or green plums, which might be expected to bloom in neighborhood corners, are rarely seen. Unlike cherry blossoms, which are planted along streets and bloom in abundance, plum blossoms remain elusive.
When cherry blossoms bloom, they burst into full splendor, drawing admiration from all around. Their petals fill the air like confetti, celebrating spring’s arrival. Plum blossoms, however, emerge quietly. They linger between the last breath of winter and the first warmth of spring, often appearing beyond a sunlit wall, unnoticed but resolute. If cherry blossoms are the festival of spring, plum blossoms are its quiet prelude.
Though I am not one to embark on tammae (探梅, the search for plum blossoms in early spring), I still find myself reaching for old art books, admiring paintings of plum blossoms, and imagining their scent. I enjoy Plum Blossom Cottage, a painting by Jeon Gi,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or its contemporary charm and gentle warmth. Likewise, Plum Blossoms and Study by Jo Hee-ryong, held in the Kansong Art Museum, captures the lively and bold essence of plum blossoms. Many late Joseon-era paintings depict a scholar seated in a tranquil mountain study, gazing at plum blossoms in full bloom. One can imagine the scholar, immersed in reading, suddenly lifting his head to the sight of branches covered in delicate white flowers. Perhaps it was not merely the visual beauty that caught his attention, but rather the soft fragrance drifting in through the open window, gently calling him to turn his gaze.
Looking at these paintings, I can almost sense the scent of plum blossoms at the tip of my nose. As a student, I traveled through the southern provinces each spring, where the scent of plums carried on the crisp wind, drifting in from unseen distances before lingering sweetly in the air. It was a fragrance that seemed to lull me into a gentle daze, much like the drowsiness of spring. The ancient poets called this scent amhyang (暗香, “the hidden fragrance”), a scent that is not seen but subtly permeates the air with its quiet presence.
In the language of perfumery, plum blossoms belong to the white floral family. However, unlike the creamy, opulent richness of tuberose or ylang-ylang, plum blossoms have a more understated and refined presence. Their scent is closer to the crisp clarity of jasmine. This similarity arises from shared key fragrance molecules. In jasmine absolute, benzyl acetate plays a major role in creating its sweet, floral scent. Interestingly, the same compound makes up over 50% of the fragrance profile of plum blossoms. The addition of benzyl aldehyde introduces a subtle spiciness, further aligning its character with that of jasmine.
Yet, the presence of similar components does not mean the scents are identical. Jasmine carries a fresh, green vibrance intertwined with its floral softness, while plum blossoms leave a more composed and profound impression. Instead of a creamy texture, their scent has a firm density—fruity in its sweetness, yet clean and unembellished. If jasmine evokes the warm winds of the tropics, plum blossoms embody the quiet strength of a flower that emerges through the final breath of winter’s cold.
Plum blossoms form their buds in the heat of summer and then endure the bitter cold of winter. To bloom, they require not only the passage of time but also the test of harsh conditions. Only after braving the cold can they finally open their petals in the embrace of spring. When that long-awaited warmth arrives, the blossoms unfurl as if opening their doors to a long-anticipated guest. And then, the profound fragrance, once cradled in winter’s grasp, is finally set free. It lingers on the spring breeze, slipping away, unseen yet unforgettable. 
봄이 다가오면 언제나 매화가 떠오르지만, 서울에서는 매화를 보기 어렵다. 화엄사의 홍매화처럼 이름난 나무가 아니더라도, 백매나 녹매처럼 동네에 피어 있을 법한 매화조차도 좀처럼 눈에 띄지 않는다. 어느 길에나 심어서 흔히 볼 수 있는 벚꽃과 달리, 서울에서 매화를 본 기억은 거의 없다. 벚꽃은 봄이 절정에 올랐을 때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온 나무가 기운을 발산하듯 빼곡하게 피지만, 매화는 봄의 햇살이 비쳐 바람 찬 겨울의 마지막 그림자를 만드는 어느 담벼락 너머에서나, 봉우리 하나 하나 고요하게 꽃잎을 틔운다. 벚꽃이 봄의 축제라면, 매화는 봄의 전령이다.
끼니 챙기듯 봄마다 탐매를 다닐 만큼 여유로운 기품이 있는 사람은 아니어도, 입춘이 되면 오래된 도록을 꺼내어 매화가 담긴 옛 그림을 찾아 본다.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희룡의 ‘매화서옥도’처럼 호탕하고 경쾌한 매화도도 좋지만, 호분으로 찍어낸 꽃이 꽤 현대적이면서도 귀여운 전기의 ‘매화초옥도’는 서정적인 봄의 기운을 느끼게 해주는 따뜻한 그림이라 좋아한다. 조선 후기의 매화 그림은 언제나 눈덮인 고요한 산 속 서재에서 매화를 감상하는 선비를 담고 있다. 책을 읽다가 문득 시선을 돌려 창밖을 바라보면, 눈송이 처럼 어느새 가지마다 매화가 흐드러지게 피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아마도 문이 열린 창가를 타고 스며든 은은한 향기에 이끌려 고개를 돌렸을 것이다.
매화 그림을 보고 있으면, 마치 코끝에 그 향기가 맴도는 듯한 기분이 든다. 학창 시절 봄마다 남도를 여행하며 맡았던 매화 향기는 꽃이 보이지 않는 먼 곳에서도 산들산들 바람을 타고 날아와 코끝에 달콤하게 맺혔다. 마치 춘곤증에 빠지듯 눈을 반쯤 감기게 만드는 아득하고도 고혹적인 향기. 그래서인지 옛사람들은 매화 향기를 암향(暗香)이라 불렀다. 보이지 않지만 은은하게 스며드는 깊은 향기라는 뜻이다.
향수의 언어로 말하자면, 매화의 향기는 화이트 플로럴 계열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나른하면서도 농염한 튜베로즈나 일랑일랑과는 달리, 매화는 더 단정하고 담백한 느낌을 준다. 오히려 선명한 인상의 자스민과 가까운 향기를 지녔다. 이는 두 향기가 공유하는 핵심 향기 분자 때문이다. 자스민 앱솔루트의 핵심 성분 중 하나인 벤질 아세테이트는 달콤하고 감미로운 꽃 향을 만든다. 그런데 이 성분은 매화에도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여기에 벤질 알데하이드가 더해지면서 감도는 스파이시한 뉘앙스로 인해 자스민과 매화의 향기는 더욱 닮아간다.
그러나 단순히 같은 성분이 포함된다고 해서 향기가 같은 것은 아니다. 자스민의 향기에는 부드러운 꽃잎과 어우러진 녹색의 신선한 기운이 감돌지만, 매화의 향기는 보다 정갈하고 깊은 느낌을 남긴다. 크리미한 질감 대신 단단한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과일처럼 달콤하면서도 군더더기 없이 선명하다. 자스민이 남국의 바람을 머금은 듯한 풍성함을 지녔다면, 매화는 겨울 끝자락의 찬 바람 속에서 단정하게 피어나는 강인함을 품고 있다.
매화는 한여름에 꽃봉오리을 만들고 매서운 겨울을 꿋꿋이 견딘다. 꽃을 피우기까지 긴 시간은 물론 혹독한 추위가 필요하다. 꽃봉오리 하나 하나에 깊숙하게 스며든 겨울이 드디어 찾아 온 따뜻한 봄을 만났을 때, 매화는 마치 반가운 손님에게 문을 열어주듯 꽃봉오리를 서서히 연다. 그리고 깊었던 겨울이 단단하게 품고 있던 고결한 향기는 보이지 않게 봄바람을 타고 멀리 퍼져나간다. 어떤 아름다움은 오랜 기다림 속에서야 비로소 그 향기를 드러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