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cented Threshold
향기로 된 문턱
circle 동글이
August 1, 2025

Vilo Acuña Airport on Cayo Largo del Sur Island, 2019

circle of lim journal airport

Vilo Acuña Airport on Cayo Largo del Sur Island, 2019

Airports sit at a threshold. This threshold is where the sky meets the land, and where cities and nations are divided. An airport becomes a place where opposites blend, such as departure and arrival, inside and outside, native and foreign. People cross this threshold as willing explorers. The quiet space of neatly carpeted floors, officials with transnational authority, tax-free shopping zones, and worn suitcases circling on conveyor belts fills the view before the automatic doors of the arrivals hall open. These are the signs of a threshold waiting to be crossed.

When we move from one world into another, we cannot help but feel a sense of tension and anticipation. It is the body’s natural response to leaving behind what is familiar and stepping into something unknown. All the senses hesitate. Unfamiliar voices reach our ears. The air on our skin feels different. It may be warm or cold, damp or dry. Something changes as we breathe it in.
But among all the senses, the nose always responds first. What truly separates arrival from departure is not a passport or a ticket. It is not time zones or languages. It is scent.

The smell of an airport has no single origin. It is made from the mingling of many things. The body odor of people waiting to greet loved ones, the sweat of travelers who have crossed time and distance, the outdoor air that slips through the doors, the chemical scent of cleaning agents, and the faded air clinging to luggage from other parts of the world all come together. These different layers build up and form a scent that defines the airport. It is not created by intention but by accumulation.

Still, beneath that mixture, each airport quietly reveals something about its destination. Like a thin sheet of tracing paper, its surface lets through small details of what lies beyond. Though many airports share the same smells of fatigue, disinfectant, and grey recycled air, a closer breath reveals signs of a city’s climate, its daily life, its food and customs, its rhythm and pace. Some airports feel like gateways standing outside a city. Others feel as if the city itself has already stepped inside.

At London Heathrow, the first thing I noticed after passing immigration was the smell of moss soaked into a damp carpet. Then came the musty scent of filter coffee and a sour oiliness I later recognized as the smell of salt and vinegar crisps. A few days later, I caught that same mossy scent on the wet pavement near King’s Cross, mixed with the smell of Pret a Manger’s bread, salty chips, and the bitterness of Nero’s Americano. Heathrow did not feel like a door into London. It felt like an old corner of the city had already seeped into the terminal.

Tokyo Narita felt the opposite. It was clean and quiet, but the air held something domestic. There was a light layer of dust like what gathers in a dryer filter, mixed with the soft saltiness of soy broth. It felt artificial and strangely familiar, like someone had scattered dried anchovy powder to keep dust down. That scent stayed with me as I moved through subway entrances, hotel corridors, and narrow alleyways behind restaurants. Narita did not feel like Tokyo’s edge. It felt like it was already deep inside the city.

The air in Bangkok’s Suvarnabhumi Airport was humid, but surprisingly light and clear. The scent of lemongrass, ginger, and citronella drifted gently, softened by the cool, slightly stale breeze that reminded me of spa air conditioners. The place smelled clean, but not overly sterilized. It felt organized, but alive. Everyday smells of the city, like monsoon rain, exhaust, sweat, ripe fruit, spices, and temple incense, had already found their way into the terminal. Suvarnabhumi was not just a gate to the city. It already smelled like Bangkok itself.

New York’s JFK Airport was filled with the sharp scent of bleach-based disinfectants. There was dust from old carpets, mold in the air ducts, and the metallic sharpness of ionized air from security scanners. The atmosphere felt shaped more by control than sensation. But outside the airport, the city exploded in noise, speed, disorder, and vitality. There were too many faces, languages, and movements to count. The tight order of JFK felt less like the city itself and more like a structure built to hold it back for just a moment. Its cold, sanitized air became a guarded handshake, a first impression full of pride.

Jeju Airport, the one I pass through most often, feels like two different places at once. In the departures hall, the smell of powdery cosmetics mingles with fermented rice wine, dried fish, and the scent of earth. It feels like a traditional market has opened inside a duty-free zone. In the arrivals hall, the air changes completely. Sea breeze, spicy florals, and dry mineral dust form quiet layers. Jeju’s air carries its weather, its soil, and its memory. Citrus, cypress, green tea, and camellia are bottled and labeled as clean, natural, and Jeju-sourced. But in the airport, that polished image brushes up against something more real. Above the soft, distilled scent, the smell of wet basalt and grilled tilefish rises up and completes the island’s true first impression.

The smell of an airport is the first sign of a place’s identity, even though it does not fully belong to anywhere. Just before we step into the city, when even the air has not yet settled, the airport holds the most unstable and complicated atmosphere. In this mixture of delay and transition, we begin to feel that we have arrived. The city’s face comes later. What arrives first is always the scent.

Smell is the most persistent of senses. A face can fade quickly, but the scent of unfamiliar sweat or unfamiliar spice stays with us much longer. Scent does not explain. It imprints. At the airport, it works not just as a sense, but as a passage into foreignness. When we know nothing about a place, scent gives us a glimpse of its rhythm, its weather, and the way it moves.

A city arrives with its scent. Or perhaps, scent arrives first, and the city follows. Through scent, we begin to sense what has not yet appeared. And the act of imagining always begins with smell.End Mark

공항은 경계 위에 있다. 그 경계는 하늘과 육지가 맞닿는 지리적 경계이자, 도시와 국가가 나뉘는 문명적 경계다. 그래서 공항은 출발과 도착, 내부와 외부, 현지인과 타자처럼 이분법적인 요소들이 뒤섞이는 장소가 되고, 사람들은 기꺼이 그 경계를 넘나들고자 하는 탐험가가 된다. 잘 정돈된 카펫이 깔린 보이드, 국가를 초월한 권위를 가진 공무원들, 세금이 붙지 않은 쇼핑 구역의 소비재들, 그리고 주인을 기다리는 상처 입은 여행 가방까지, 입국장의 자동문을 열고 나오기 전까지 보이는 모든 풍경은 초월되기를 기다리는 경계다.

하나의 세상에서 다른 세상으로 옮겨갈 때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약간의 긴장과 설렘을 느낀다. 익숙했던 삶의 영역에서 벗어나 낯선 경험 속으로 들어가는 신체의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모든 감각 기관은 경계에 들어선 몸을 망설이게 한다. 낯선 언어가 귀에 흘러들고, 익숙하지 않은 피부 감각이 공기 속에서 느껴진다. 덥거나 춥고, 습하거나 건조한 공기가 몸을 감싼다.

하지만 가장 먼저 반응하는 건 언제나 후각이다. 도착과 출발을 진짜로 가르는 건 여권도 티켓도 아니고, 시차나 언어도 아니다. 냄새다. 공항의 냄새는 하나의 기원을 갖지 않는다. 설레는 마음으로 지인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체취, 긴 여정의 피로가 밴 땀 냄새, 문 틈으로 스며드는 바깥 공기, 청소약과 세제의 인공적인 향, 그리고 짐에 실려 온 먼 공기의 잔향까지, 서로 다른 공기들이 부딪히고 겹쳐지며 공항만의 냄새를 만든다. 이 조합은 공항이라는 공간을 가장 선명하게 정의한다.

어느 공항이건 얇은 종이처럼 도착지의 특징이 조금씩 비쳐나온다. 청소약 냄새나 피로한 체취, 회색 계열의 공기라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그 속을 조금만 들여다보면 각 도시가 품고 있는 기후와 생활, 식문화, 질서와 속도 같은 것들이 스며들어 있다. 어떤 공항은 도시의 입구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어떤 공항은 이미 도시의 일부처럼 존재한다. 결국 그곳의 공기는 무색무취의 중립을 가장하는 동시에, 어딘가에 속해 있다는 인상을 어쩔 수 없이 풍긴다.

런던 히드로에 처음 도착했던 날, 입국 심사를 마치고 나오자 가장 먼저 코를 스친 건 젖은 카펫에 밴 이끼 냄새였다. 그 위로 탁한 필터 커피 향과 오래된 튀김기에서 배어 나오는 시큼한 기름 냄새가 겹쳐졌다. 며칠 후, 그 냄새가 솔트 앤 비네거 감자칩의 향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비 오는 날의 킹스크로스 역, 젖은 돌바닥에서 나는 이끼 냄새, 프렛타 망제의 샌드위치 빵 냄새와 짭조름한 감자칩, 네로커피의 아메리카노 냄새는 히드로 공항의 공기 속에 겹겹이 이어져 있었다. 히드로는 도시의 입구라기보다, 이미 오래된 런던의 구석이 공항 안으로 흘러든 공간 같았다.

도쿄 나리타 공항의 공기는 정반대였다. 먼지 하나 없이 정돈된 공간이지만, 공기에는 생활의 잔향이 남아 있었다. 건조기 필터에서 날 법한 먼지 입자 위로 간장 육수의 짭조름한 냄새가 겹쳐졌다. 마치 멸치 육수를 바닥에 뿌려 먼지를 가라앉힌 듯한, 인위적이지만 오래된 감각. 이 향은 공항을 나선 뒤에도 이어졌고, 지하철역 입구, 호텔 복도, 뒷골목의 음식점에서 더 짙어졌다. 나리타의 공기는 도쿄의 외곽이 아니라, 이미 그 내부의 일부처럼 느껴졌다.

방콕 수완나품 공항의 공기는 습했지만 의외로 맑고 가벼웠다. 레몬그라스, 진저, 시트로넬라가 은은하게 감돌고, 스파 냉방기 아래에서 맡을 법한 시원하면서도 텁텁한 향이 섞여 있었다. 청결하지만 과도하게 살균된 느낌은 아니었고, 생기를 머금은 공기였다. 매일같이 쏟아지는 소나기, 매연, 그리고 땀냄새와 열대과일, 향신료, 사원에서 나는 향까지—방콕 일상의 냄새들이 공항까지 흘러들어 있었다. 수완나품의 공기는 도시의 관문이 아니라, 이미 방콕이라는 공간의 일부였다.

뉴욕 JFK 공항은 락스 계열의 소독약 냄새가 지배적이다. 오래된 카펫 먼지, 냉방 시스템에서 배어 나오는 곰팡이, 금속 탐지기의 이온화된 공기까지, 감각보다 통제가 앞서는 공기. 그러나 공항 바깥으로 나가면 곧바로 마주하게 되는 건 거리의 무질서한 생명력이다. 다양한 얼굴과 언어, 속도와 혼돈을 품은 도시. JFK의 냉정한 질서는 그런 뉴욕을 받아들이기 위한 최소한의 구조처럼 보인다. 그래서 그 통제된 공기는 퉁명스러운 뉴요커들의 마음을 빼앗는, 자존심의 보루 같은 첫인상으로 남는다.

내가 가장 자주 오가는 제주공항은 선명하고 단순하다. 출국장에는 파우더리한 화장품 냄새, 막걸리 발효취, 말린 생선 비린내, 흙냄새가 얽혀 있다. 면세점 한가운데 건어물 시장이 들어선 듯한 풍경. 입국장에 들어서면 공기는 전혀 다르다. 바다 내음을 머금은 바람, 스파이시한 꽃향기, 자갈이 갈린 듯한 건조한 냄새가 층을 이룬다. 제주공기의 다층성은 섬의 기후와 땅, 기억과 연결된다. 화산섬 제주에는 귤나무, 편백, 녹차, 동백 같은 식물이 자라고, 이들은 ‘클린’, ‘내추럴’, ‘제주 유래’ 같은 말로 병에 담긴다. 공항은 그 정제된 이미지와 날것의 현실이 스치는 공간이다. 균일하게 추출된 제주의 향 위로, 젖은 현무암과 구운 옥돔 냄새가 겹쳐지며, 이 섬의 진짜 첫인상을 만든다.

공항의 냄새는 특정 장소의 정체성을 예고하는 동시에, 아직 어디에도 완전히 속하지 않는 공기의 형식이다. 도시로 진입하기 직전, 공기조차 정돈되지 않은 그 짧은 순간, 공항은 가장 복잡하고 불안정한 공기를 품는다. 그 혼합과 충돌, 지연과 전이가 만들어내는 공기 속에서 우리는 비로소 새로운 장소에 ‘도착했다’는 실감을 얻는다. 도시의 얼굴은 그보다 늦게 나타난다. 먼저 도착하는 건, 언제나 냄새다.

후각은 가장 오래 남는 감각이다. 눈앞의 풍경은 쉽게 잊히지만, 낯선 땀냄새나 향신료의 냄새는 훨씬 오래 몸에 남는다. 냄새는 설명되기보다 먼저 반응하게 만들고, 정체성을 파악하기보다 먼저 감각적으로 각인된다. 공항에서의 후각은 단순한 감각이 아니라, 이방인이 되는 순간을 통과하게 만드는 의식처럼 작동한다. 도시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그 공간의 리듬과 기후와 질서를 가장 먼저 전달해주는 요약이자 예고편이다.

도시는 냄새와 함께 도착한다. 혹은 냄새가 먼저 도착하고, 도시가 따라온다. 우리는 그 냄새를 통해 무언가를 미리 느끼고, 아직 도착하지 않은 도시를 상상한다. 그리고 상상은 언제나 냄새에서 시작된다.End Mark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