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legant and Harmonious Heart
Sandalwood
우아한 조화의 중심
샌달우드
circle 동글이
September 14, 2023

Georges Seurat, The Forest at Pontaubert, 1881

Georges Seurat_The Forest at Pontaubert_1881

Georges Seurat, The Forest at Pontaubert, 1881

Sandalwood, or “백단” in Korean, is a fragrance material that humanity has used for thousands of years. It’s said that about 4,000 years ago, the people of India enjoyed sandalwood by cutting or grinding its heartwood into powder. In addition, sandalwood was burned during the mummification process in ancient Egypt, at Muslim funerals, and in Indian cremation rituals, suggesting that its use wasn’t merely for the enjoyment of scent, but had deeper religious significance, marking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It’s no coincidence that Guerlain’s Samsara, often praised for skillfully incorporating sandalwood into a modern fragrance structure, is named after the Sanskrit word for “eternal rebirth.”

Sandalwood has long been cherished as a fragrance that evokes an Eastern sense of mystery. This likely stems from the Western world’s historical tendency, as it developed the perfume industry, to seek out unfamiliar and exotic aesthetics. In other words, the West has mythologized the East as an unknown realm associated with desire and sensuality. While this “Oriental” accord has been replaced with the more politically correct term “Amber,” sandalwood remains central to this fragrance family. Additionally, thanks to its strong fixative properties that help scents linger longer, sandalwood continues to be a popular base note in many modern perfumes.

However, the name “sandalwood” hasn’t been widely 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in Korea for very long. Its rise in popularity seems to coincide with the time when traditional designer perfume houses began to be seen as somewhat outdated. Sandalwood started to stand out not just for its ability to create a mood but for its more assertive presence. Products like Le Labo’s Santal 33 and Diptyque’s Tam Dao, both well-known in Korea as niche perfumes representing the “woody” scent category, have steadily exposed people to the scent of sandalwood, helping them recognize its fragrance.

That being said, sandalwood is more of a supporting scent, blending seamlessly with other notes rather than standing out on its own. It doesn’t have the bold character of agarwood, the smokiness of guaiacwood, or the direct woodiness of cedarwood. Instead, sandalwood has a unique ability to deepen and extend over time. Like a slow-cooked stew, it’s initially overshadowed by stronger scents, but as time goes on, it reveals a deep and subtle presence. It doesn’t demand attention, but its soft, milky woodiness, with a creamy, nutty richness, gradually transitions into a lingering balsamic note. In aromatherapy, sandalwood is known for its strong anti-inflammatory properties, helping soothe irritated skin, and is also believed to calm the mind during meditation by clearing away mental distractions.

In this way, sandalwood is one of the most widely loved fragrance materials, cherished by both perfumers and aromatherapists alike. It’s hard to imagine a perfumer’s organ without natural sandalwood oil. However, using natural sandalwood oil extracted directly from trees is no longer a simple task because of the species’ risk of extinction. Of the four or so types of sandalwood used for fragrance, the most famous species for perfume production is the Santalum Album that once grew in India’s Mysore region. However,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 disease known as “spike” spread, threatening the survival of sandalwood trees. On top of that, the over-harvesting of the trees, following the growing recognition of their value as a fragrance material, also contributed to the crisis. Trees that had grown for over 30 years were being recklessly harvested to extract the oil. As a result, in 1998,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added Santalum Album to its Red List, classifying it as “Vulnerable” to extinction.

Meanwhile, in Western Australia, Australian sandalwood (Santalum Spicatum) became highly sought after as a substitute for Indian sandalwood to meet the global demand. However, over-harvesting also occurred there, and by 2021, Australian sandalwood was also listed as “Vulnerable” on the IUCN Red List. The Australian government has been making various efforts, such as establishing sandalwood farms, encouraging cultivation, and regulating the harvesting of wild sandalwood. Despite the challenges of growing sandalwood, which is a semi-parasitic tree that requires close contact with the roots of neighboring trees, attempts to create plantations of Indian sandalwood have been underway since the 1980s. As a result, most of the natural sandalwood used globally today is either Santalum spicatum grown in Australia or Santalum Album grown on Australian plantations.

Since natural sandalwood is so rare and traded at such high prices,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find substitutes for the scent of sandalwood. The main component responsible for sandalwood’s fragrance is Santalol, which makes up about 90% of Indian sandalwood essential oil. In the past, Santalol was distilled from Australian sandalwood, but this is now nearly impossible. As a result, various synthetic fragrance materials have taken its place. Examples include IFF’s Santaliff and Givaudan’s Javanol 10, and more recently, biotechnology has enabled the production of Santalol through fermentation processes, offering a promising, more sustainable alternative to petrochemical-based synthetics.

The attempts to replace natural materials, including sandalwood, are often driven by economic reasons. However, they are sometimes seen as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ared to natural ingredients harvested to the point of endangerment. Still, the issue is complex. While synthetic fragrances leave a carbon footprint due to their petroleum origins, natural fragrances are often over-harvested beyond nature’s regenerative ability. Choosing between these two options based on ethical standards is no simple task. It’s also true that synthetic fragrances have yet to fully replicate the elegant, balanced scent that natural sandalwood offers.

At circle of lim, we primarily use sandalwood from New Caledonia (Santalum Austrocaledonicum). We question whether it’s necessary to use endangered plants just to create perfumes, and we strive to use ingredients derived from nature rather than petrochemicals that don’t biodegrade. Since 1988, the government of New Caledonia has strictly managed the sustainable production of sandalwood, regulating annual harvest quotas and carefully selecting trees for felling by measuring their girth and sapwood thickness. While the scent of New Caledonian sandalwood is softer, sweeter, and cozier compared to the deeper aroma of Indian sandalwood, its lighter fragrance highlights the unique identity of sandalwood in a more sensorial way. Additionally, as long as we continue to prioritize sustainability and follow strict regulations, we believe that, despite the challenges, it remains a viable option for perfumers today. Plantation projects worldwide have proven successful in cultivating sandalwood sustainably, and ongoing improvements continue to meet global demand while preserving natural ecosystems.

When I look at the few types of sandalwood on my organ, I often feel a sense of reverence. It reminds me that we must respect the materials we borrow from nature. After all, we can’t exploit nature in our pursuit to enjoy its beautiful scents.End Mark

백단, 즉 샌달우드는 인류가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해 온 향료다. 약 4,000년 전부터 인도인들은 샌달우드의 심재를 잘게 자르거나 빻아서 파우더를 만들어 향을 즐겼다고 전해진다. 또한 이집트에서 미라를 만들거나 무슬림 문화의 장례식, 인도에서 시신을 화장할 때 샌달우드를 태우는 것을 보면, 단순히 향기를 즐기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치장하는 종교 의식의 의미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샌달우드를 현대적인 조향 체계로 잘 녹여냈다고 평가받는 겔랑의 ‘삼사라(Samsara)’가 산스크리트어로 ‘영원한 부활’을 의미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샌달우드는 주로 동양적인 신비로움을 드러내는 데에 유독 사랑받아 온 향료다. 이는 아마도 향수 산업을 발전시켜 온 서구 사회의 습성이 계속해서 낯선 미감을 추구해왔기 때문일 것이다. 즉 어딘가 낯설고 이국적이며, 욕망이나 관능을 드러내려는 의도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동양이라는 세계를 신화화해 온 것이다. 이러한 ‘오리엔탈’적 경향은 정치적인 올바름이 강조되며 현재는 ‘앰버’라는 교정된 용어로 불리지만, 여전히 샌달우드는 그 안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향기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잡아주는 보류제로서의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현대의 많은 퍼퓸 하우스에서 향기의 베이스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백단이 아닌, 샌달우드라는 이름이 사람들에게 대중화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은 아닌 것 같다. 전통적인 디자이너 퍼퓸하우스가 왠지 철지난 것으로 평가되기 시작하던 시기부터 샌달우드는 단순히 분위기를 자아내던 원래의 목적 이외에도 좀 더 적극적인 의미로 자신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르라보의 ‘상탈33’이나 딥디크의 ‘탐다오’ 등, 국내에서 소위 ‘우디향’을 대표하는 ‘니치’ 향수로 잘 알려진 제품들이 샌달우드라는 향료의 이름을 꾸준히 노출시키면서,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샌달우드가 풍기는 향기가 어떤 것인지 대강 짐작하고 있다.

하지만 샌달우드는 굳이 말하자면 직관적인 향이라기 보다는 다른 모든 향과 어우러지는 역할을 담당하는 간접적인 향에 가깝다. 아가우드처럼 캐릭터가 강하지도, 구아이악우드처럼 스모키하지도, 시더우드처럼 우디함을 곧장 드러내지도 않는다. 시간이 지날수록 묵직하게 파고들고 오랫동안 길게 유지되는 것이 샌달우드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마치 뭉근하게 끓인 스튜의 질감처럼, 처음엔 다른 강한 향에 가려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깊고 은은하게 퍼져나간다. 자기 주장을 고집하지는 않지만, 부드럽고 밀키한 나무 냄새에 고소하고 너티한 기름기가 느껴지면서 이내 발사믹한 느낌만을 남긴다. 또한 아로마테라피에서는 샌달우드가 항염 작용이 뛰어나 염증 피부를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며, 명상할 때 잡념을 없애고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 앉힌다고 말한다.

이렇듯 샌달우드는 조향사들부터 아로마테라피스트들까지 가장 폭넓게 사랑받는 항료 중 하나다. 내추럴 샌달우드 오일이 없는 조향사의 오르간을 상상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실제로 나무에서 추출해 낸 내추럴 샌달우드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이제는 그렇게 간단한 일이 아니다. 멸종의 위협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향료로 쓰는 약 4종 정도의 샌달우드 중에서 향수의 원료로 가장 잘 알려진 종은 인도의 마이소르 지방에 자생하던 샌달우드(Santalum Album)다. 그러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스파이크라는 질병이 유행하면서 샌달우드의 생존을 위협하는 일이 벌어졌다. 게다가 향료로서의 가치가 알려진 이후 자행된 과도한 벌목도 위기를 초래하는 원인이었다. 오일을 추출하기 위해 30년 이상 자란 나무를 무분별하게 채취한 것이었다. 따라서 1998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레드 리스트에 샌달우드를 멸종위기 ‘취약’으로 등재시켰다.

한편 호주 서부에는 샌달우드의 세계적인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인도산 샌달우드의 대용품으로 각광받던 호주산 샌달우드(Santalum Spicatum)가 자생하고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과도한 벌목이 이루어졌고, 2021년이 되자 호주산 샌달우드 마저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분류한 레드 리스트에 멸종위기 ‘취약’으로 등재되었다. 호주 정부는 샌달우드 농장을 설립하고, 재배를 권하며, 야생 샌달우드의 수확을 규제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바로 옆의 나무와 뿌리를 맞대고 자라는 반기생나무라는 특징으로 농장에서 키우기 녹록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1980년대부터 인도산 샌달우드의 경작을 시도해왔다. 따라서 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샌달우드는 거의 대부분 호주에서 자란 호주산 샌달우드이거나 호주에서 자란 인도산 샌달우드다.

내추럴 샌달우드가 워낙 희귀해서 고가로 거래되다보니 샌달우드 향을 대체하려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샌달우드의 향기를 좌우하는 주요 성분은 인도산 샌달우드 에센셜 오일의 약 90%를 이루고 있는 산탈롤(Santalol)이다. 과거에는 호주산 샌달우드에서 산탈롤을 분별 증류하였다고 하는데 지금은 거의 불가능한 것 같다. 따라서 다양한 합성 항료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현실이다. IFF의 산탈리프(Santaliff), 지보단의 자바놀(Javanol 10) 등이 대표적인 샌달우드 계열의 합성 향료이며, 최근에는 생명공학 기술을 통해 발효 공정을 통한 산탈롤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석유화학 기반 합성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하고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샌달우드 뿐만 아니라 자연의 원료를 대체하려는 이러한 시도는 보통 단순히 경제적인 이유로 시도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할 정도로 과도하게 채취되는 내추럴 원료에 비해 오히려 자연에 이로운 재료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복잡한 문제가 숨어 있다. 즉, 석유를 원료로 탄소발자국을 남기며 만들어지는 합성 향료와 자연의 자생력을 넘어서는 인간의 횡포로 채취되는 천연 향료 중에서 윤리적인 기준에 기대어 하나를 고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아직까지는 합성 향료가 내추럴 샌달우드 특유의 우아하고 조화롭게 중심을 잡아주는 향기를 대체하지는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서클 오브 림에서는 뉴칼레도니아산 내추럴 샌달우드(Santalum Austrocaledonicum)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향수를 만들기 위해 멸종 위기의 식물을 굳이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자연적으로 소멸되지 않는 석유 화학 물질 대신에 자연으로부터 유래한 원료를 쓰려고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뉴칼레도니아 정부에서는 1988년부터 샌달우드의 지속 가능한 생산을 위해 엄격히 관리하고 있으며, 매년 샌달우드의 수확 할당량을 규제하고 나무의 둘레와 변재의 두깨를 측정하여 벌목할 나무를 정하고 있다. 인도산 샌달우드의 깊은 향기에 비하면 좀 더 부드럽고 달콤하며 포근하지만, 향이 가벼운 만큼 샌달우드라는 정체성이 훨씬 더 감각적으로 잘 드러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자연의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면서 규제를 철저히 지킨다면, 수급이 안정적인 한, 계속해서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오르간에 놓인 몇 가지 샌달우드를 바라보면 자연에서 빌려 온 것들에 최소한의 예의를 다 해야겠다는 경건한 마음이 들곤 한다. 자연의 아름다운 향기를 즐기기 위해 자연을 괴롭힐 수는 없지 않겠는가.End Mark

위로 스크롤